꿈꾸는 식물
2011. 7. 13. 09:55보물찾기.
이 책에 무슨 의미가 있는 지 찾아 보았다. 아직 잘 모르겠다. 친구가 선물한 책인데 이 친구가 이 책을 보낸 이유가 분명히 있을 거같다. 읽는 도중에 머리속이 복잡해서 못 찾았을 수도 있다. 소설이란 걸 너무 오랜만에 읽어서 읽는 법을 몰라서 일 수도 있다. 이책은 목차도 없고 분류도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단숨에 달리는 느낌이다. 저자의 의도가 있는 거같다.
이책에선 여러가지 상반된 대비를 시킨다. 세상의 가장 어두운 곳인 장미촌과 판검사가 되어야 하는 주인공과 그형, 청순하고 똑똑한 여자와 장미촌에 제발로 들어온 행동, 정회와 명자, 법대생과 방화, 태하형의 변화, 음악감상실 주인의 변화 등등 보통의 생각으로는 조금 어색한 것들이 많이 나온다. 이런 대비를 통해 독자에게 주려는 의미가 있는 거 같다. 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모순된 것이 바로 사람이고 인생이다.
지금 내 주변에도 모순된 상황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모순이란 것도 나의 기준이다. 우리는 각자의 세계를 갖고 있다. 내가 밖의 세계를 대하면서 낯선 것들을 모순이라 받아 들이는 것일 수도 있다. 내가 이해를 못 할 뿐이지 원래 우주가 그렇게 돌아가는 것이다.
이 책에 무슨 의미가 있는 지 찾아 보았다. 아직 잘 모르겠다. 친구가 선물한 책인데 이 친구가 이 책을 보낸 이유가 분명히 있을 거같다. 읽는 도중에 머리속이 복잡해서 못 찾았을 수도 있다. 소설이란 걸 너무 오랜만에 읽어서 읽는 법을 몰라서 일 수도 있다. 이책은 목차도 없고 분류도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단숨에 달리는 느낌이다. 저자의 의도가 있는 거같다.
이책에선 여러가지 상반된 대비를 시킨다. 세상의 가장 어두운 곳인 장미촌과 판검사가 되어야 하는 주인공과 그형, 청순하고 똑똑한 여자와 장미촌에 제발로 들어온 행동, 정회와 명자, 법대생과 방화, 태하형의 변화, 음악감상실 주인의 변화 등등 보통의 생각으로는 조금 어색한 것들이 많이 나온다. 이런 대비를 통해 독자에게 주려는 의미가 있는 거 같다. 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모순된 것이 바로 사람이고 인생이다.
지금 내 주변에도 모순된 상황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모순이란 것도 나의 기준이다. 우리는 각자의 세계를 갖고 있다. 내가 밖의 세계를 대하면서 낯선 것들을 모순이라 받아 들이는 것일 수도 있다. 내가 이해를 못 할 뿐이지 원래 우주가 그렇게 돌아가는 것이다.